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2025년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이 확대 시행됩니다.
이번 지원 사업은 월 최대 20만 원씩 최장 24개월 동안 지원되며, 19~34세 이하의 무주택 청년이라면 신청 가능합니다.
신청부터 지급까지 어렵지 않게 정리했으니, 해당하는 분들은 꼭 신청하세요!
1. 지원 대상 (누가 받을 수 있나요?)
📌 기본 요건
- 연령: 1990년~2006년 출생한 19~34세 이하 청년
- 주거 조건: 부모와 별도로 거주하는 무주택자
- 소득 기준:
- 청년가구: 기준 중위소득 60% 이하
- 원가구(부모 포함):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
💡 중위소득 기준 (2025년)
가구원 수 | 중위소득 100% (원가구) | 중위소득 60% (청년가구) |
1인 가구 | 2,392,013원 | 1,435,208원 |
2인 가구 | 3,932,658원 | 2,359,595원 |
3인 가구 | 5,025,353원 | 3,015,212원 |
4인 가구 | 6,097,773원 | 3,658,664원 |
※ 청년 본인의 소득이 중위소득 60% 이하이면 부모님 소득과 상관없이 지원될 수도 있습니다.
2. 지원 금액 및 기간 (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?)
📌 지원 금액
- 매월 최대 20만 원 지급 (실제 납부한 월세만큼 지원)
- 최대 24개월(총 480만 원) 지원
📌 지원 제외 항목
- 보증금, 관리비, 공과금(전기·수도요금 등) 제외
- 부모, 형제·자매 등 2촌 이내 가족 소유 주택 거주자는 지원 불가
- 1실(방)에 다수가 거주하는 전대차(쉐어하우스) 거주자는 원칙적으로 지원 불가
(단, 임대인과 개별 임대차계약 체결한 경우 지원 가능)
📌 기존 청년월세 지원자도 신청 가능!
- 2022~2024년 1차 지원 수혜자라도 최대 24개월을 초과하지 않는 한 추가 지원 가능
- 예) 1차 지원으로 8개월 지급받았다면, 이번 2차 지원에서 최대 16개월 추가 지원 가능
3. 신청 방법 (어디서, 어떻게 신청하나요?)
📌 신청 기간
✅ 2024년 2월 26일 ~ 2025년 2월 25일 (1년간 신청 가능)
📌 신청 방법
✔ 온라인 신청: 복지로 홈페이지(www.bokjiro.go.kr)
✔ 오프라인 신청: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 접수
📌 필요 서류
- 월세지원 신청서 (복지로 사이트에서 작성 가능)
- 임대차계약서 (확정일자 날인 필수)
- 월세 이체내역 (최근 3개월)
- 가족관계증명서
- 청년 본인 명의 통장 사본
- (필요 시) 소득 증빙 서류
📌 신청 후 절차
1️⃣ 신청서 제출 → 2️⃣ 소득·재산 조사 (1~2달 소요) → 3️⃣ 지원 결정 통보 → 4️⃣ 매월 25일 지급
4. 자주 묻는 질문 (Q&A)
Q1. 월세가 20만 원이 안 되는데, 그래도 20만 원 지원받나요?
👉 아니요. 실제 납부한 월세만큼만 지원됩니다. 예를 들어 월세가 15만 원이면 15만 원만 지급됩니다.
Q2. 주거급여를 받고 있는데, 중복 신청할 수 있나요?
👉 가능합니다. 다만, 주거급여에서 지급된 월세 보조액을 제외한 금액만 지원됩니다.
Q3. 반전세, 연세(일시불 월세), 고시원, 하숙집도 지원 대상인가요?
👉 가능합니다! 다만, 임대차계약서와 월세 납부 이체 내역이 확인되는 경우에 한함.
Q4. 신청 후 몇 달 동안 받을 수 있나요?
👉 최대 24개월(2년간) 지원 가능. 하지만 중간에 이사하거나 소득·재산이 증가하면 지원이 중단될 수도 있습니다.
Q5. 배우자, 친구와 함께 살고 있는데, 각각 지원받을 수 있나요?
👉 가능합니다! 다만, 계약자가 공동 명의일 경우 각자 지불한 월세만큼 신청 가능.
Q6. 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후 결혼하면 어떻게 되나요?
👉 결혼 후에도 계속 받을 수 있지만, 배우자의 소득·재산이 합산되면 지원이 중단될 수도 있음.
5. 신청 전에 꼭 확인하세요! (주의사항)
✅ 반드시 청년 본인 명의로 신청 (부모님·형제 대리 신청 불가)
✅ 임대차계약서에 확정일자 필수! (전입신고 안 된 경우 신청 불가)
✅ 월세 이체 내역 필수 제출 (최근 3개월)
✅ 지자체 및 국토부 청년월세 지원 중복 신청 불가
💡 결론: 청년이라면 꼭 신청하세요!
월세 부담을 덜어주는 2025년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, 최대 48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 기회입니다.
신청 대상이라면 지금 바로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하고, 꼭 필요한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!
'정부정책 및 복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실업급여 받을 수 있을까? 질병·출산 퇴직, 경영상 해고 등등 Q&A (0) | 2025.02.07 |
---|---|
2025년 1학기 국가근로장학금 2차 신청 방법과 유의사항 정리! (0) | 2025.02.06 |
2025년 주거안정장학금 안내 신청 방법 및 대상 정리 (0) | 2025.02.06 |
남원시 민생회복지원금 신청방법 기간 사용처 30만원 빨리 받으세요! (0) | 2025.01.09 |
영광사랑카드 발급방법, 주민센터 방문 없이 온라인으로 신청! (0) | 2025.01.06 |
댓글